Daily

250206 github 팀 프로젝트 organization, gitignore 관련 주의사항

Imperor 2025. 2. 6. 22:06

repository에 .gitignore파일이 있지만 제대로 작동하지 않는 문제가 있었다

 

이유는 

이미 커밋에 한번이라도 추적된 파일들은 .gitignore 파일에 포함되어도 계속 변경 로그에 뜨기 때문에

깃허브 원격 저장소에서 임시 파일들을 삭제하고, main -> develop -> feature 브랜치 순으로 변경 사항을 덮어쓰면 된다

 

빈 폴더에 시작해야 한다는 이유가 바로 이것이다 

 

 

혼자서 개인프로젝트 만들때는 아무 문제 없었던 이유는 

개인으로 쓸때는 

github 에서 repository를 먼저 만들고, 빈 폴더인 repository를 github desktop에서 local에 clone한 뒤에

repository settings에서 ignorefiles에 직접 추가해서 .gitingore를 만들고 그다음에 솔루션과 프로젝트들을 생성했었다

원리를 몰랐지만, 운이 좋았던 경우라고 볼 수 있다

 


 

팀프로젝트 공동 소유를 하기 위해서는 organization이 필요하다

 

해당 팀 프로젝트 repository를 들어간 다음 

우측 위에서 New organization에서 Free버전 클릭 후 Create a free organization

 

 

 

아래의 next 누른다

 

멤버들 추가하고 complete setup하면

 

Organization 한 repository가 생성된다

 

팀 멤버가 github에 등록한 email에 초대장이 도착하며, 

 

 

수락하면 

 

여기서 Setting 들어가면

 

 

 

 

원 소유자는 이렇게 만든 Organization의 Setting > Member privileges에 들어가서

 

 

Repository forking의 

Allow forking of private repositories 체크를 해준다

 

그리고

Member privileges에서 Base permissions를 Read에서 Admin으로 

 

 

 

내꺼는 이 화면이 안나와서 slack에 있는걸 가져와서 썼다

 

 

 

 

참고사이트

 

https://docs.github.com/ko/organizations/organizing-members-into-teams/assigning-the-team-maintainer-role-to-a-team-member

 

팀 멤버에게 팀 유지 관리자 역할 할당 - GitHub Docs

팀 구성원에게 팀 유지 관리자 역할을 할당하여 팀 멤버 자격 및 설정을 관리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.

docs.github.com

 

 

https://computer-science-student.tistory.com/764

 

[GitHub] 깃허브 저장소(Repository) 소유권 변경하기

[GitHub] 저장소(Repository) 소유권 변경하기 GitHub 저장소를 개인으로 생성하고 다른 사람에게 소유권을 넘긴다던지 혹은 Organization 소유로 변경하고 싶을 수 있을 것이다. 이 글에서 그 방법에 대해

computer-science-student.tistory.com

 

 

https://velog.io/@chwogus/Git-%ED%98%91%EC%97%85%ED%95%98%EB%8A%94-%EB%B0%A9%EB%B2%95-Collaborator-vs-Organization

 

[Github] 협업하는 방법 : Organization & Collaborator

Organization 생성 후 Collaborator와 Contributor 등록하기

velog.io